하이퍼바이저의 정의와 분류(BareMetal/Native/Hosted)
이전 글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분 중 IaaS는 서버/스토리지/네트워크를 가상 환경으로 만들어 해당 인프라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라고 하였다.
https://kuveminton.tistory.com/56
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(Iaas/Paas/SaaS)
클라우드(cloud)란 무엇인가? 클라우드 컴퓨팅(cloud computing)이란 무엇인가? '클라우드'는 직역하면 '구름'으로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위치의 컴퓨팅 장비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. 클라우
kuveminton.tistory.com
하이퍼바이저는 물리적인 리소스를 가상 환경으로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.
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하면 한 대의 컴퓨터에서 다수개의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논리적 컴퓨터를 여러개 생성할 수 있다.
하이퍼바이저의 종류(Type1/Type2)
Type 1(BareMetal/Native)
- 하드웨어(서버 등)에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고 그 위에 논리적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식
- BareMetal 혹은 Native라고 불리우는 방식
- eg) Xen, KVM, vmware ESX, Hyper-V등
운영체제 windows Linux iOS
| | |
하이퍼바이저 Xen/KVM/vmware ESX/Hyper-V
|
하드웨어 서버 등
Type 2(Hosted)
- 운영체제가 설치된 PC, 서버 등에서 하이퍼바이저를 실행, 실행된 하이퍼바이저에서 다른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식
-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하이퍼바이저가 실행되므로 hosted 방식 혹은 type 2 방식으로 불림
- eg) vmware workstation, 오라클 VirtualBox, QEMU 등
운영체제 windows Linux iOS
| | |
하이퍼바이저 vmware workstation/VirtualBox/QEMU
|
운영체제 windows/Linux/iOS
|
하드웨어 서버 등
여기까지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정의와 분류였습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는 IaaS(Infrastructure as a Service)의 한 종류인 OpenStack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https://kuveminton.tistory.com/58
하이퍼바이저 오픈스택(OpenStack)의 기본 개념과 역사
OpenStack의 역사와 설립 배경 2010년 7월 Rackspace 와 NASA가 OpenStack을 설립하였다. Rackspace는 2010년 3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오픈 소스화했고, NASA는 2010년 5월 서버 가상화 플랫폼을 오픈 소스화 하였
kuveminton.tistory.com